또하나의

고정 헤더 영역

글 제목

메뉴 레이어

또하나의

메뉴 리스트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  • 분류 전체보기 (479)
    • 국내주식 (370)
    • 자기소개서 문항 분석 (52)
    • 채용공고 (26)
    • 경매 자료 (10)
    • 넷플릭스 (6)
      • 개미는 오늘도 뚠뚠 챕터2 (6)
    • Life's Honey팁 (1)
    • 기타 (2)
    • 피아노 (1)
    • 해외주식 (1)
    • 뉴스 (5)
    • 사회 이슈 평론 (1)

검색 레이어

또하나의

검색 영역

컨텐츠 검색

전체 글

  • 2022년 12월 22일 마감시황

    2022.12.22 by 미래예측러

  • 2022년 12월 20일 마감시황

    2022.12.20 by 미래예측러

  • 2022년 12월 19일 마감시황

    2022.12.19 by 미래예측러

  • 2022년 12월 2일 마감시황

    2022.12.02 by 미래예측러

  • 2022년 12월 1일 마감시황

    2022.12.01 by 미래예측러

  • 2022년 11월 30일 마감시황

    2022.11.30 by 미래예측러

  • 2022년 11월 29일 마감시황

    2022.11.29 by 미래예측러

  • 2022년 11월 28일 마감시황

    2022.11.28 by 미래예측러

2022년 12월 22일 마감시황

2022년 12월 22일 마감시황 - 코스피시장- 12/22 KOSPI 2,356.73(+1.19%) 나이키 실적 호조 및 美 소비지표 개선(+), 기관 순매수(+) 지난밤 뉴욕증시가 나이키 실적 호조 및 소비 지표 개선, 저가매수세 유입 등으로 상승, 유럽 주요국 증시도 상승. 이날 코스피지수는 2,340.00(+11.05P, +0.47%)으로 상승 출발. 장 초반 2,335.75(+6.80P, +0.29%)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시간이 갈수록 점차 상승폭을 키웠음. 오후 들어 상승세가 둔화되기도 했으나 장 후반으로 갈수록 재차 상승폭을 확대했고, 결국 장중 고점인 2,356.73(+27.78P, +1.19%)에서 거래를 마감. 금융투자를 중 심으로한 기관 순매수 속 코스피지수는 6거래일만에 반등..

국내주식 2022. 12. 22. 20:43

2022년 12월 20일 마감시황

2022년 12월 20일 마감시황 - 코스피시장- 12/20 KOSPI 2,333.29(-0.80%) 일본 중앙은행 금융완화 축소 결정(-), 긴축 경계감 및 경기 침체 우려 지속(-), 외국인·기관 동반 순매도(-) 지난밤 뉴욕증시가 긴축 경계감 및 경기 침체 우려 지속 등에 하락, 유럽 주요국 증시는 반발매수세 유입속 상승. 이날 코스피지수는 2,344.73(-7.44P, -0.32%)으로 하락 출발. 장 초반 2,329선까지 낙폭을 키웠으나 오전중 낙폭을 줄여 상승 전환했고, 2,353.86(+1.69P, +0.07%)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. 이후 재차 하락 전환해 시간이 갈수록 낙폭을 확대. 장 막판 2,324.66(-27.51P, -1.17%)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결국 2,333.29(-..

국내주식 2022. 12. 20. 21:07

2022년 12월 19일 마감시황

2022년 12월 19일 마감시황 - 코스피시장- 12/19 KOSPI 2,352.17(-0.33%) 긴축 및 경기 침체 우려 지속(-), 美 증시 하락(-), 외국인·개인 동반 순매도(-), 기관순매수(+)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긴축 경계감 속 경기 침체 우려 지속 등에 하락, 유럽 주요국 증시도 하락. 이날 코스피지수는 2,350.78(-9.24P, -0.39%)로 하락 출발. 장 초반 2,342.28(-17.74P, -0.75%)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낙폭을 줄였고, 오전 한때 2,358.76(-1.26P, -0.05%)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. 이후 시간이 갈수록 낙폭을 재차 키웠고, 장 후반 2,344선까지 낙폭을 확대했으나 장 막판 낙폭을 다소 줄인 끝에 2,352.17(-7.85P, -0..

국내주식 2022. 12. 19. 21:26

2022년 12월 2일 마감시황

2022년 12월 2일 마감시황 - 코스피시장- 12/2 KOSPI 2,434.33(-1.84%)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(-), 美 고용동향보고서 경계감(-), 외국인/기관 순매도(-) 밤사이 뉴욕증시가 11월 고용동향보고서 관망 속 혼조세를 나타냈고, 유럽 주요국 증시는 美 금리인상 속도 조절 기대감 속 대부분 상승. 이날 코스피지수는 2,471.50(-8.34P, -0.34%)으로 하락 출발. 장중 고점에서 출발한 지수는 시간이 흐를수록 낙폭을 확대했고 정오 무렵 2,450선 부근까지 밀려남. 오후 들어서도 낙폭을 키운 지수는 장 후반 2,434.33(-45.51P, -1.84%)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뒤 일부 낙폭을 만회하기도 했지만, 재차 낙폭을 확대해 결국 장중 저점인 2,434.33(-45...

국내주식 2022. 12. 2. 20:33

2022년 12월 1일 마감시황

2022년 12월 1일 마감시황 - 코스피시장- 12/1 KOSPI 2,479.84(+0.30%) Fed 긴축 속도 조절 기대감(+), 원/달러 환율 급락(+), 외국인/기관 순매수(+), 무역수지적자 지속(-) 밤사이 뉴욕증시가 파월 Fed 의장 금리인상 속도 조절 언급 등에 급등했고, 유럽 주요국 증시는 유로존 11월 소비자물가지수(CPI) 완화 속 일제히 상승. 이날 코스피지수는 2,501.43(+28.90P, +1.17%)으로 갭상승 출발. 장중 고점에서 출발한 지수는 시간이흐를수록 상승폭을 축소하는 모습. 오후 들어 2,474.33(+1.80P, +0.07%)까지 상승폭을 축소해 장중 저점을 형성했고, 이후 2,480선 부근에서소폭 상승세를 이어가다 결국 2,479.84(+7.31P, +0.30..

국내주식 2022. 12. 1. 22:12

2022년 11월 30일 마감시황

2022년 11월 30일 마감시황 - 코스피시장- 11/30 KOSPI 2,472.53(+1.61%) 中 코로나19 방역 완화 기대감 지속(+), 원/달러 환율 하락(+), 대규모 외국인 순매수(+) 밤사이 뉴욕증시가 파월 Fed 의장 연설 대기 속 혼조세를 나타냈고, 유럽 주요국 증시도 혼조 마감. 이날 코스피지수는 2,424.44(-8.95P, -0.37%)로 하락 출발. 장초반 2,421.42(-11.97P, -0.49%)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이내 반등에 성공. 오전 중 2,440선 부근에서 상승세를 이어가던 지수는 오후 들어 재차 상승폭을 확대하는 모습. 장 마감까지 상승폭을 키운 지수는 결국 장중 고점인 2,472.53(+39.14P, +1.61%) 으로 장을 마감. 중국의 코로나19..

국내주식 2022. 11. 30. 21:49

2022년 11월 29일 마감시황

2022년 11월 29일 마감시황 - 코스피시장- 11/29 KOSPI 2,433.39(+1.04%) 中 코로나19 방역 완화 기대감(+), 원/달러 환율 급락(+), 외국인/기관 순매수(+) 밤사이 뉴욕증시가 中 코로나 시위 확산, Fed 위원 매파적 발언 등에 하락했고, 유럽 주요국 증시도 일제히 하락. 이날 코스피지수는 2,405.54(-2.73P, -0.11%)로 약보합 출발. 장초반 2,401.10(-7.17P, -0.30%)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점차 낙폭을 만회하다 오전 중 상승 전환. 이후 시간이 지날수록 상승폭을 확대했고 오후 장중 2,433.87(+25.60P, +1.06%)에서 고점을 형성. 이후 2,430선 부근에서 강세 흐름을 이어가다 결국 2,433.39(+25.12P,..

국내주식 2022. 11. 29. 22:52

2022년 11월 28일 마감시황

2022년 11월 28일 마감시황 - 코스피 마감시황 11/28 KOSPI 2,408.27(-1.21%) 中 코로나19 불확실성 지속(-), 원/달러 환율 급등(-), 외국인/기관 순매도(-)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블랙 프라이데이 소비 주시 속 혼조세를 나타냈고, 유럽 주요국 증시는 독일 경제지표 호조 속 대부분 상승. 이날 코스피지수는 2,425.05(-12.81P, -0.53%)로 하락 출발. 장초반 낙폭을 확대해 2,410선 아래로 밀려나기도 했지만, 이내 낙폭을 만회하며 오전중 2,425.65(-12.21P, -0.50%)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. 이후 낙폭을 키운 지수는 재차 2,410선 아래로 떨어지기도 했지만 일부 낙폭을 축소해장중 2,415선 부근에서 약세 흐름을 이어가는 모습. 장 후반 낙..

국내주식 2022. 11. 28. 18:57

추가 정보

인기글

최신글

페이징

이전
1 2 3 4 5 ··· 60
다음
TISTORY
또하나의 © Magazine Lab
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

티스토리툴바